024. 한국어 문법4 '이/가 아니에요'는 어떻게 가르칠까?

1. 시작하며 한녕하세요. 이번 글은 제가 문법 '이/가 아니에요'를 가르치는 방법에 관한 내용입니다. 문법 '이/가 아니에요'는 세 번째 문법 '이/가'(이 문법에 관한 설명을 보시려면 ' 여기 '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의 용법과 관계가 깊습니다. 즉 일반적으로 '이/가 아니에요'는 질문에 대한 부정을 표현하는 기능을 합니다. 2. 문법 '이/가 아니에요'의 의미와 형태 의미 : '예'나 '아니요'로 답할 수 있는 질문에 대해 '아니요'를 표현하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상대방이 책상을 가리키며 '이것은 책이에요?'라고 질문을 하면 '아니요, 그것은 책이 아니에요.'라고 부정의 의미를 전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형태: 이 문법은 '이/가'와 같이 명사 또는 명사형 어휘와 결합합니다. 결합하는 어휘의 끝음절에 받침이 있을 경우는 '이 아니에요.'와 결합하고, 받침이 없을 때는 '가 아니에요.'와 결합합니다. 3. 선수 학습 내용 지금 말씀드리는 '이/가 아니에요'를 배우는 학습자의 경우 선수 학습 내용으로는 '이/가'가 되겠습니다. 즉 '이/가'를 학습한 상태에서 '이/가 아니에요'를 배우게 됨을 가정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앞의 글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한국어를 모르는 학습자들에게 한국말로 한국어를 가르치려면 학습자들의 선수 학습 내용을 잘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수 학습 내용을 잘 알고 있어야 그것을 토대로 새로운 것을 한국말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선수 학습 내용으로 최소한 파악하여야 하는 것은 이미 배운 어휘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미 알고 있는 문법이 무엇인지 등입니다. 다시 말해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어휘와 문법이 무엇인지를 교사가 알고 있다면 수업을 진행하는 데에 많은

023. 한국어 문법3 '이/가'는 어떻게 가르칠까?

 차례 - '이/가' 도입



1.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세 번째 문법 '이/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문법 '이/가'의 용법은 두 번째 문법 '은/는①(이 문법에 대한 설명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 입장에서는 어떨 때 '이/가'를 사용하고, 어떨 때 '은/는①'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궁금해 하기 마련입니다. 한국말을 배우기 시작한 학생들에게는 차이를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단 두 개의 용법에 큰 차이가 없음을 알리는 것도 나쁘지 않겠습니다. 현 단계에서는 질문을 할 때는 '이/가'를 많이 사용하고, 그에 대한 대답을 할 때는 '은/는①'을 사용한다는 것을 예문을 통해 알게 하는 정도이면 큰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2. 문법 '이/가'의 의미와 형태

  • 의미: 문법 '이/가' 앞에 나오는 말이 문장의 주어가 되겠습니다. 통상 '은/는①'과 바꿔 사용해도 의미 전달에는 큰 무리는 없으나 통상 질문을 할 때 '이/가'를 많이 사용하고, 대답을 할 때는 '은/는①'을 사용한다는 정도로 의미를 알려 주면 되겠습니다. 물론 특정 대상에 대해 여러 가지를 질문할 경우 첫 번째 질문은 '이/가'를 사용하고, 두 번째 질문부터는 '은/는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합니다. 예를 들어 처음 만난 사람에게 이름을 물을 때는 '이름이 뭐예요?'라고 질문하고, 그 사람에게 연이어 직업을 물어 볼 때는 '직업은 뭐예요?'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가'를 사용한 의문사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할 때도 '이/가'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면 '누가 한국 사람이에요?'에 대한 대답은 '제가 한국 사람이에요.'와 같이 '제가'라고 답을 하게 될 것입니다.
  • 형태: 이 문법은 '은/는①'과 같이 명사 또는 명사형 어휘와 결합합니다. 어휘의 끝음절에 받침이 있을 경우는 '이'와 결합하고, 받침이 없을 경우는 '가'와 결합합니다.

3. 선수 학습 내용

선수 학습 내용이라 함은 학생들이 먼저 배운 내용을 의미합니다. 한국말을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한국말을 한국말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교사가 학습자들이 앞에서 배운 내용이 무엇인지를 잘 알고 있다면 수업을 진행할 때 학습자들이 이미 알고 있는 어휘와 표현, 문법 등을 활용해서 가르쳐야 할 내용을 한국말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본 글에서는 선수 학습 내용으로 문법은 앞에서 말씀드린 '이에요/예요', '은/는①'으로 전제하고, 어휘는 나라 이름, 직업, 간단한 장소, 한자어 수 등으로 전제하겠습니다.

4. 문법 '이/가' 도입

학습자들이 이미 알고 있는 '은/는①'을 복습하면서 자연스럽게 오늘 배울 목표 문법 '이/가'를 노출시키는 방법으로 의미를 전달하면 학습자들이 어렵지 않게 이해할 것입니다. 예를 들면 '선생님 이름은 ㅇㅇㅇ이에요.'라고 말한 후 특정 학생(가급적이면 잘하는 학생)을 손바닥을 위로하여 가리키며 '이름은 뭐예요?'라고 말하면 해당 학생이 'ㅇㅇㅇㅇ이에요./예요'라고 말할 것입니다. 이때 교사는 방금 교사가 질문한 말을 판서한 후 그 아래에 '이름이 뭐예요?'라고 쓰고 각각 '은'과 '이'에 빨간색 동그라미를 그린 후 '≒'를 표시하고, '여러분 '은', '이' 비슷해요.'와 같이 말합니다. 두세 개의 표현을 더 판서한 후 비교해 보이면 학생들은 어렵지 않게 목표 문법의 의미를 이해할 것입니다.

자세한 도입, 제시, 연습, 활용, 마무리 등의 진행 방법을 설명한 교안과 수업 보조 자료는 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