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4. 한국어 문법4 '이/가 아니에요'는 어떻게 가르칠까?

1. 시작하며 한녕하세요. 이번 글은 제가 문법 '이/가 아니에요'를 가르치는 방법에 관한 내용입니다. 문법 '이/가 아니에요'는 세 번째 문법 '이/가'(이 문법에 관한 설명을 보시려면 ' 여기 '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의 용법과 관계가 깊습니다. 즉 일반적으로 '이/가 아니에요'는 질문에 대한 부정을 표현하는 기능을 합니다. 2. 문법 '이/가 아니에요'의 의미와 형태 의미 : '예'나 '아니요'로 답할 수 있는 질문에 대해 '아니요'를 표현하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상대방이 책상을 가리키며 '이것은 책이에요?'라고 질문을 하면 '아니요, 그것은 책이 아니에요.'라고 부정의 의미를 전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형태: 이 문법은 '이/가'와 같이 명사 또는 명사형 어휘와 결합합니다. 결합하는 어휘의 끝음절에 받침이 있을 경우는 '이 아니에요.'와 결합하고, 받침이 없을 때는 '가 아니에요.'와 결합합니다. 3. 선수 학습 내용 지금 말씀드리는 '이/가 아니에요'를 배우는 학습자의 경우 선수 학습 내용으로는 '이/가'가 되겠습니다. 즉 '이/가'를 학습한 상태에서 '이/가 아니에요'를 배우게 됨을 가정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앞의 글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한국어를 모르는 학습자들에게 한국말로 한국어를 가르치려면 학습자들의 선수 학습 내용을 잘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수 학습 내용을 잘 알고 있어야 그것을 토대로 새로운 것을 한국말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선수 학습 내용으로 최소한 파악하여야 하는 것은 이미 배운 어휘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미 알고 있는 문법이 무엇인지 등입니다. 다시 말해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어휘와 문법이 무엇인지를 교사가 알고 있다면 수업을 진행하는 데에 많은...

003. 한국어 기본 모음 중 단모음 수업 진행 방법

안녕하십니까?

이번 글에서는 일반적으로 한국어를 처음 배우게 되는 학생들을 위해 진행되는 모음 수업에 관한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앞의 글 "한국어 자음과 모음 교육의 중요성과 효율적인 발음 교육, 발음 학습 단계, 한글의 자음과 모음 교육 순서" 내용 중 "4. 한글의 자음과 모음 교육 순서"에서도 말씀 드린 것처럼 한글을 가르칠 때에는 모음을 먼저 가르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저는 한글의 모음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가르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기본 모음'입니다. 기본 모음은 ', , , , , , , , , '를 말합니다. 두 번째는 '그 외 모음'입니다. 그 외 모음은 ', , , , , , , , , , '를 말합니다. 이 글에서는 기본 모음 중에서도 단모음, 즉 시작하는 소리와 끝나는 소리가 같은 ', , , , , '에 대한 수업 진행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말씀드리는 순서는 1. 기본 모음 중 단모음 제시하기, 2. 기본 모음 중 단모음 연습히기, 3. 기본 모음 중 단모음 숙달하기, 4. 마무리하기, 이렇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말씀드리겠습니다.

기본 모음-단모음



1. 기본 모음 중 단모음 제시하기

여기에서는 제목과 같이 기본 모음 중 단모음을 제시합니다. 즉 기본 모음 중 단모음의 글자 형태를 시각적으로 보여 주고, 청각적으로 들려 주게 됩니다. 저의 경우는 기본 모음 중 단모음을 제시하기 전에 영어의 알파벳 중 일부를 판서나 PPT 등을 활용해서 보여 줍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영어에 알파벳이 있는 것처럼 한글에도 영어의 알파벳과 같은 것이 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알게 해 주기 위해서입니다. 형태 제시하기와 소리 제시하기의 두 단계로 나누어 말씀드리겠습니다.
  • 형태 제시하기: 판서나 PPT 등을 활용해 기본 모음 중 단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를 시각적으로 보여 줍니다. 이때 글자의 모양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와 굵기로 보여 주고 이번 시간에 공부할 것은 6개밖에 안 되어 매우 쉽다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6'이라는 글자를 판서해 주는 것도 좋겠습니다.
  • 소리 제시하기: 손짓을 병행하며 "들으십시오."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선생님이 글자를 가리키며 정확한 발음으로 소리를 들려줍니다. 한 글자 당 한 번씩 들려줄 수도 있고, 두세 번씩 들려줄 수도 있겠습니다. 이때 선생님의 목소리를 대신하여 준비된 음성 자료를 들려줘도 괜찮습니다.

2. 기본 모음 중 단모음 연습하기

이제 학습자들이 글자의 모양과 소리를 들어 보았으니 연습을 하면 되겠습니다. 연습을 할 때는 학습자들이 지루해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언어를 배우는 것이니 어쩔 수 없이 반복 연습이 필요한데 단순한 반복 연습은 학습자들이 지루해 할 수 있으니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선생님 따라하기와 학습자 개별 읽기로 나누어 말씀드리겠습니다.
  • 선생님 따라하기: 먼저 선생님이 'ㅏ'를 가리키고 "따라하십시오.", "아"라고 말하며 따라하게 합니다. 이때 학생들이 한국말을 모르므로 따라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손짓을 병행하며 "선생님, 말합니다.", "여러분, 말합니다."라고 말한 후 따라하게 하면 학생들이 따라하게 됩니다. 저의 경우는 보통 한 글자당 세 번씩 따라하게 합니다. 첫 번째는 왼쪽 학습자를 보며, 두 번째는 가운데 학습자, 세 번째를 오른쪽 학습자를 보면서 학생들이 잘 따라하고 있는지를 살핍니다. 이때 한 손으로는 "아" 소리의 입 모양을 하며 따라하게 하면 더 좋습니다. 한 글자를 세 번 따라하고 난 후에 저는 "잘했습니다."라고 조금 과장되게 칭찬을 하면서 "박수!"라고 말하며 크게 박수를 치도록 유도합니다. 그렇게 하면 분위기도 활기차게 되고 학생들도 자신감을 갖고 더 열심히 하게 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방법으로 나머지 모음들을 한 글자당 세 번씩 따라하게 합니다. 한 글자씩 따라하게 한 다음에는 두 글자씩 따라하게 하고, 마지막으로 6개의 글자를 모두 따라하게 합니다.
  • 학습자 읽기: 이번에는 학습자 한 명을 손을 펴서 정중하게 지목한 후 'ㅏ' 글자를 가리키며 "읽으십시오."라고 말하며 읽게 합니다. 학습자가 "아"라고 읽으면 선생님은 "잘했습니다. 아"라고 말합니다. 즉 칭찬을 한 후 정확한 발음으로 교사가 한 번 더 읽어 줍니다. 이때 학습자가 잘 읽지 못해도 선생님은 "괜찮습니다'라고 말하여 격려를 해 주고 정확한 발음으로 따라하게 하면 되겠습니다. 한 학습자가 'ㅣ'까지 모두 읽으면 선생님은 모든 학생이 다시 'ㅏ'부터 'ㅣ'까지 따라하게 합니다. 그런 후에 다음 학습자를 지목하여 읽게 합니다. 이런 방법으로 읽기 연습을 진행합니다. 

3. 기본 모음 중 단모음 숙달하기

충분한 반복 연습을 했으니 이제는 몸에 익히는 활동을 해야겠습니다. 외워 말하기, 듣고 고르기, 듣고 쓰기, 외워 쓰기로 나누어 말씀드리겠습니다.
  • 외워 말하기: 선생님이 먼저 손으로 눈을 가리고 'ㅏ, ㅓ, ㅗ, ㅜ, ㅡ, ㅣ'를 말한 후 "시작!"이라는 말을 하여 외워 말하게 합니다. 처음에는 잘 못 외울 수도 있으니 살짝 눈을 뜨고 보는 것을 허용해 줍니다. 이렇게 두세 번 정도 눈을 감고 말하게 합니다. 그리고 학습자 한 명, 한 명에게 외워 말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학습자 한 명이 외울 때마다 "잘했습니다."라고 칭찬을 하고 선생님이 다시 한 번 'ㅏ, ㅓ, ㅗ, ㅜ, ㅡ, ㅣ'를 말한 후 "시작!"이라고 말을 하면서 또 전체 학습자가 같이 외워 말하게 합니다. 이런 방법으로 모든 학습자들이 최소한 한 번씩은 외워 말하게 합니다.
  • 듣고 고르기: 이번에는 선생님이 'ㅏ, ㅓ, ㅗ, ㅜ, ㅡ, ㅣ'에 번호를 붙여 쓴 후, "선생님, 말합니다. 여러분, 1(one), 2(two), 3(three), 4(four), 5(five), 6(six), 말합니다."라고 말하며 듣고 고르도록 합니다. 학생들이 아직 숫자를 모르므로 영어로 고르게 하는 것도 괜찮겠습니다. 또는 선생님이 숫자를 말하면 학생들이 손을 들도록 해도 괜찮겠습니다. 예를 들면, 선생님이 "아"라고 말한 후 "one? two?"와 같이 말하며 손을 들도록 하면 되겠습니다.
  • 듣고 쓰기: 이번에는 선생님이 말한 것을 학생들이 공책에 쓰도록 하면 되겠습니다. 선생님이 손짓을 병행하며 "선생님, 말합니다. 여러분, 씁니다."라고 말한 후 여섯 개의 모음을 순서에 관계 없이 선생님이 한 글자씩 말하면 받아 쓰게 합니다. 이때 선생님은 한 글자당 적어도 세 번씩 다시 말해 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선생님은 교실을 다니면서 학습자들이 잘 쓰고 있는지 확인하여 어느 학습자가 잘하고 있는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은 없는지 살펴야겠습니다. 학습자들이 정확하게 썼든지, 틀리게 썼든지 관계 없이 모두 쓴 것을 확인하면 선생님은 칠판에 방금 선생님이 말한 글자를 씁니다. 그리고 방금 전에 교실을 다니면서 살필 때 틀리게 쓴 학생이 칠판을 보면서 틀린 것을 고치는지 확인하고, 만약에 고치지 않는다면 고치도록 해야겠습니다. 받아쓰기가 끝나면 선생님은 칠판에 쓴 모음을 가리키면서 전체 학생들이 읽도록 합니다.
  • 외워 쓰기: 선생님은 칠판의 내용을 모두 지운 후에 "ㅏ, ㅓ, ㅗ, ㅜ, ㅡ, ㅣ"라고 말한 후 손짓을 병행하면서 "쓰십시오."라고 말하며 쓰게 합니다. 이때도 교실을 다니면서 확인하고 돕습니다. 역시 "ㅏ, ㅓ, ㅗ, ㅜ, ㅡ, ㅣ"를 두세 번 다시 말해 줍니다. 학생들이 다 쓴 것을 확인하면 칠판에 선생님이 써 주고 틀린 학생들은 고치도록 한 후 다시 한 번 선생님과 함께 읽도록 합니다.

4. 마무리하기

선생님과 함께 기본 모음 중 단모음 6개를 같이 읽고 한 번 더 공책에 쓰도록 합니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글자를 보고 읽는 연습과 안 보고 쓰는 연습을 하는 숙제를 부여합니다.

이상으로 한국어 기본 모음 중 단모음 수업 진행 방법을 1. 기본 모음 중 단모음 제시하기, 2. 기본 모음 중 단모음 연습하기, 3. 기본 모음 중 단모음 숙달하기, 4. 마무리하기, 네 부분으로 나누어 말씀드렸습니다. 위 방법은 제가 일반적으로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더 재미있고, 효과적인 방법도 얼마든지 있다는 것을 말씀드리면서 선생님들께서도 선생님들만의 수업 방법을 만드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