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4. 한국어 문법4 '이/가 아니에요'는 어떻게 가르칠까?

1. 시작하며 한녕하세요. 이번 글은 제가 문법 '이/가 아니에요'를 가르치는 방법에 관한 내용입니다. 문법 '이/가 아니에요'는 세 번째 문법 '이/가'(이 문법에 관한 설명을 보시려면 ' 여기 '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의 용법과 관계가 깊습니다. 즉 일반적으로 '이/가 아니에요'는 질문에 대한 부정을 표현하는 기능을 합니다. 2. 문법 '이/가 아니에요'의 의미와 형태 의미 : '예'나 '아니요'로 답할 수 있는 질문에 대해 '아니요'를 표현하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상대방이 책상을 가리키며 '이것은 책이에요?'라고 질문을 하면 '아니요, 그것은 책이 아니에요.'라고 부정의 의미를 전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형태: 이 문법은 '이/가'와 같이 명사 또는 명사형 어휘와 결합합니다. 결합하는 어휘의 끝음절에 받침이 있을 경우는 '이 아니에요.'와 결합하고, 받침이 없을 때는 '가 아니에요.'와 결합합니다. 3. 선수 학습 내용 지금 말씀드리는 '이/가 아니에요'를 배우는 학습자의 경우 선수 학습 내용으로는 '이/가'가 되겠습니다. 즉 '이/가'를 학습한 상태에서 '이/가 아니에요'를 배우게 됨을 가정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앞의 글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한국어를 모르는 학습자들에게 한국말로 한국어를 가르치려면 학습자들의 선수 학습 내용을 잘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수 학습 내용을 잘 알고 있어야 그것을 토대로 새로운 것을 한국말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선수 학습 내용으로 최소한 파악하여야 하는 것은 이미 배운 어휘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미 알고 있는 문법이 무엇인지 등입니다. 다시 말해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어휘와 문법이 무엇인지를 교사가 알고 있다면 수업을 진행하는 데에 많은...

006. 한국어 기본 자음은 어떻게 가르칠까? 1편-모음과 자음의 차이 보이기

안녕하십니까?

이번 글에서는 제가 학습자들에게 한글의 기본 자음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해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 한국어의 음절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즉 첫 부분, 가운데 부분, 끝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맘'이라는 음절을 예로 들면 첫 부분은 'ㅁ'이고, 가운데 부분은 'ㅏ'이며, 끝 부분은 'ㅁ'입니다. 이 중 첫 부분에 해당하는 것이 기본 자음입니다. 한국어의 첫 부분에 해당하는 기본 자음의 개수는 모두 아시는 것과 같이 19개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의 14개와 'ㄲ(쌍기역), ㄸ(쌍디듣), ㅃ(쌍비읍), ㅆ(쌍시옷), ㅉ(쌍지읓)' 등 5개입니다. 이 중 'ㅇ(이응)'은 소리가 없고 나머지 18개는 각각의 소리가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기본 자음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해서만 다루고 글자가 만들어진 원리에 대한 설명은 모두 알고 계실 것이니 생략하겠습니다. 말씀드리는 순서는 기본 모음 복습, 기본 자음 어휘 보이기입니다.

기본 자음-모음과 자음의 차이


1. 기본 모음 복습

기본 자음을 학습하기 전에 먼저 앞에서 배운 기본 모음을 복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 모음의 내용을 잘 알고 있어야 이번 시간에 가르칠 기본 자음의 학습 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복습하는 순서는 '기본 모음 따라 읽기 및 외워 말하기', 기본 모음 어휘 따라 읽기 및 말하기', '기본 모음 어휘 받아쓰기' 등을 주요 내용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기본 모음 따라 읽기 및 외워 말하기: 판서나 PPT 등으로 앞에서 배운 기본 모음을 보인 후에 선생님을 따라 한 글자씩 읽게 합니다. 이렇게 하여 학생들의 기억을 되살립니다. 다음으로 선생님이 눈을 감고 기본 모음을 외우는 모습을 보인 후에 학생들에게 외워서 말하게 합니다. 이렇게 하면 잊혀져 가던 기본 모음을 학생들이 다시 기억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기본 모음 어휘 따라 읽기 및 말하기: 판서나 PPT 등으로 앞에서 배운 기본 모음 어휘를 보여 준 후 선생님을 따라 한 단어씩 읽게 합니다. 다음으로 기본 모음 어휘 글자를 보이고 읽어 보게 합니다. 마지막으로 기본 모음 그림을 보여 주고 말해 보게 합니다. 이때 그림을 보고 말할 수 없어도 괜찮습니다. 여기에서는 글자를 보고 읽을 수 있는 정도만 되면 되겠습니다.
  • 기본 모음 어휘 받아쓰기: 이번에는 앞에서 복습한 기본 모음 어휘를 선생님이 말하면, 학생들이 공책에 쓰게 합니다. 선생님은 한 어휘당 3번씩 불러 주고, 교실을 다니면서 학생들이 잘 쓰고 있는지를 확인하면 좋겠습니다. 어휘 한 개의 받아쓰기가 끝나면 선생님은 정답을 칠판에 써 주고 학생들이 확인하도록 합니다. 이런 방법으로 앞에서 배운 나머지 기본 모음 어휘 받아쓰기를 진행합니다.

2. 기본 자음 어휘 보이기

여기에서는 기본 모음 어휘와 기본 자음 어휘를 비교하여 모음과 자음의 차이를 알려 주며 한글 음절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게 합니다. '기본 모음 어휘와 기본 자음 어휘 보이기', '기본 모음 어휘와 기본 자음 어휘 차이 보이기' 등을 주요 내용으로 진행합니다.
  • 기본 모음 어휘와 기본 자음 어휘 보이기: 칠판에 쓰거나 PPT 등을 활용해서 기본 모음 어휘와 기본 자음 어휘를 보여 줍니다. 이때 모음으로만 이루어진 글자와 같은 모음이 들어가는 자음 글자를 보이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면 '이, 비, 키, 피', '오, 소, 초, 코'와 같이 보여 줍니다.
  • 기본 모음 어휘와 기본 자음 어휘 차이 보이기: 앞에서 보인 기본 모음 어휘와 기본 자음 어휘 중 기본 자음 어휘의 '자음'에 동그라미를 치거나 밑줄을 그어 오늘은 자음을 공부하게 될 것임을 알립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본 자음을 가르치기 위해 준비 단계에 해당합니다. 다음 단계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꼭 이 준비 단계를 거치는 것이 좋습니다. 준비 단계 활동이 잘 이루어져야 다음 단계 진행이 수월해질 것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기본 자음을 제시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