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4. 한국어 문법4 '이/가 아니에요'는 어떻게 가르칠까?

1. 시작하며 한녕하세요. 이번 글은 제가 문법 '이/가 아니에요'를 가르치는 방법에 관한 내용입니다. 문법 '이/가 아니에요'는 세 번째 문법 '이/가'(이 문법에 관한 설명을 보시려면 ' 여기 '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의 용법과 관계가 깊습니다. 즉 일반적으로 '이/가 아니에요'는 질문에 대한 부정을 표현하는 기능을 합니다. 2. 문법 '이/가 아니에요'의 의미와 형태 의미 : '예'나 '아니요'로 답할 수 있는 질문에 대해 '아니요'를 표현하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상대방이 책상을 가리키며 '이것은 책이에요?'라고 질문을 하면 '아니요, 그것은 책이 아니에요.'라고 부정의 의미를 전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형태: 이 문법은 '이/가'와 같이 명사 또는 명사형 어휘와 결합합니다. 결합하는 어휘의 끝음절에 받침이 있을 경우는 '이 아니에요.'와 결합하고, 받침이 없을 때는 '가 아니에요.'와 결합합니다. 3. 선수 학습 내용 지금 말씀드리는 '이/가 아니에요'를 배우는 학습자의 경우 선수 학습 내용으로는 '이/가'가 되겠습니다. 즉 '이/가'를 학습한 상태에서 '이/가 아니에요'를 배우게 됨을 가정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앞의 글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한국어를 모르는 학습자들에게 한국말로 한국어를 가르치려면 학습자들의 선수 학습 내용을 잘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수 학습 내용을 잘 알고 있어야 그것을 토대로 새로운 것을 한국말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선수 학습 내용으로 최소한 파악하여야 하는 것은 이미 배운 어휘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미 알고 있는 문법이 무엇인지 등입니다. 다시 말해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어휘와 문법이 무엇인지를 교사가 알고 있다면 수업을 진행하는 데에 많은...

009. 한국어 기본 자음은 어떻게 가르칠까? 4편-기본 자음 연습시키는 방법(기본 자음 쓰기와 어휘 읽기)

안녕하십니까!

앞 글에서는 한국어 기본 자음의 글자 모양과 소리를 연습시키는 방법, 즉 '기본 자음 읽기', '기본 자음 외워 말하기', '기본 자음 쓰기', '기본 자음 어휘 읽기', '기본 자음 어휘 쓰기', '기본 자음 어휘 받아 쓰기' 등의 순서 중 '기본 자음 읽기'와 '기본 자음 외워 말하기'에 대해서 말씀 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본 자음 쓰기'와 '기본 자음 어휘 읽기'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기본 자음 쓰기

이번 단계는 기본 자음 19개를 획순에 따라 쓰게 하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진행 내용은 '선생님을 따라 허공에 쓰기', '기본 자음 쓰기', '기본 자음 받아쓰기'입니다.
  • 선생님을 따라 허공에 쓰기: 선생님이 칠판에 써 놓은 'ㄱ'을 가리킨 후 'ㄱ' 아래에 순서에 따라 쓰는 모습을 보여 줍니다. 이때 쓰는 순서를 알 수 있도록 나누어 쓰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ㄷ'의 경우는 'ㄷ' 글자 아래에 'ㅡ'를 쓰고 글자에 화살표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씀을 표시하고 'ㅡ' 아래에 'ㄴ'을 붙여 쓰고 글자에 화살표로 쓰는 방향을 표시합니다. 이렇게 쓰는 순서를 알려준 후 손을 들어 허공에 따라 쓰게 합니다. 한 글자당 3~5회씩 허공에 쓰게 합니다. 이때 선생님은 교실의 왼쪽, 가운데, 오른쪽을 살피면서 학생들이 잘 따라 쓰는지를 확인합니다.
  • 기본 자음 쓰기: 허공에 쓰는 연습을 한 후에 선생님은 준비된 기본 자음 쓰기 자료를 활용해 개인별로 쓰게 합니다. 교재가 있으면 교재에 쓰게 하면 되고, 교재도 없고, 준비된 자료도 없다면 그냥 공책에 쓰게 합니다. 한 글자당 최소 10회 이상 쓰게 하면 되겠습니다. 학생들이 쓰고 있을 때 선생님은 교실을 다니면서 잘 쓰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개별 학생에게 기본 자음을 읽게 하고 외워 보게 하여 이해 정도를 확인합니다.
  • 기본 자음 받아쓰기: 기본 자음 쓰기 활동이 끝나면 이번에는 선생님이 말하는 글자를 공책에 받아쓰게 합니다. 선생님은 기본 자음 한 글자당 최소 3회 이상 반복해 말해 줍니다. 이때 교실을 다니면서 학습자들이 잘 쓰고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학습자들이 다 썼으면 선생님은 방금 말한 기본 자음을 칠판에 써 주고, 학습자들이 스스로 자기가 쓴 것과 맞는지를 확인하게 합니다. 이렇게 학습자들이 스스로 확인하는 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이런 방법으로 나머지 기본 자음을 받아쓰게 합니다. 받아쓱를 할 때 처음에는 기본 자음을 순서대로 받아쓰게 하고, 이후에는 무작위로 받아쓰게 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2. 기본 자음 어휘 읽기

이번 단계는 기본 자음으로 이루어진 어휘를 읽는 연습을 하게 합니다. '기본 자음 어휘 읽기'에서는 기본 자음 19개의 글자가 포함된 어휘를 읽게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가지', '나비', '다리', '라디오', '모자', '바지', '소', '아버지', '자', '차', '코', '타이어', '파리', '하마', '까치', '머리띠', '오빠', '씨', '찌' 등 쉽게 그림으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단어를 한 어휘당 최소 3회 이상씩 따라 읽게 합니다. 글자를 읽은 후에는 해당 글자의 그림을 보여주어 의미를 알게 합니다. 이때 읽은 어휘는 나중에 한국어 수업을 진행할 때 활용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학습자들의 기본 자음 연습 방법 중 '기본 자음 쓰기'와 '기본 자음 어휘 읽기' 방법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나머지 연습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